# 평범한 사람들에게 부동산이라고 하는 것은 아파트 또는 단독주택, 상가 정도에 한정될 것이다.
# 부동산을 실거주 목적으로만 생각하는 사람도 있고, 실거주도 있지만 투자의 목적도 상당부분 고려하거나, 투자측면이 오히려 더 큰 사람들도 있다. 내가 만약 부동산을 실거주 목적으로만 생각했다면 이 글은 쓰여질 필요가 없다.
# 따라서 이 글은, 나같이 평범한 사람들이 실거주도 해야 하지만 투자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하는 사람들이, 아파트나 각종 주택 및 상가에 대한 투자에 대해서 어떻게 접근해야할지에 대한 짧은 생각이다.
- 주식시장을 생각해 본다.
부동산을 투자라는 카테고리로 접근한다면, 그와 유사한 성격을 가진 "주식" 이라는 것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주식도 자산이며, 오르거나 떨어지거나 하니까.
어쨌든, 주식을 하다보면 여기저기서 많이 듣게 되는 격언과 같은 문장이 하나 있다.
"개미는 주식하지마라. 안하는게 돈버는 길이다."
많은 사람들이 하지말라는 것은 잘 될 가능성이 별로 없기 때문에 나온 말일 것이다.
그런데 이 글에서 전제로 달았던 "평범한 사람"은 주식시장에서의 "개미"와 치환해도 큰 문제는 없어보인다.
우리는 주식시장에서와 마찬가지로, 부동산 시장에서도 개미인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들의 미래는 해피엔딩이 아닐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 그럼에도 뭔가를 해야된다.
주식이 부동산과 다른 점이 있다면, 의식주 중 하나는 아니라는 것이다.
즉, 주식은 안해도 되는데, 부동산은 일단 살곳은 있어야 하니 하긴해야한다는 의미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부동산 시장에서도 개미이지만 어쨌든 플레이어의 한 명으로서 게임을 해야한다.
- 스타트가 다르다.
다시 주식으로 돌아가서, 주식시장에서 왜 개미는 안된다는 것일까?
가장 큰 이유는, 자금력과 정보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며, 우리는 생업이 있어서 주식에 집중할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일 것이다. (물론 자금력,정보력,시간 모두 있어도 안되는 사람들도 있다고 하지만.. 일단은 넘어가자)
마찬가지로 부동산 시장에 대입해보면, 마찬가지의 결론이 나온다.
우리는 부동산을 굴릴 자금력과 정보력이 없고, 월급을 받으려면 일을 계속해야 되서 임장을 할 시간도 없다.
이런 개미들을 위한 주식시장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답이 하나 있다.
"우량주에 투자하라, 그리고 존버하라."
주식시장에서 개미가 호구이긴 하지만, 그래도 가진 것은 시간이므로 망하지 않을 우량주에 투자해서 존버하면 그래도 시장수익률 정도(운좋으면 좀더)는 먹을 수 있기 때문에 나온 말이다.
그렇다면 부동산시장에서도 그렇게 하는 것이 가장 개미에게는 우선은 알맞아 보인다.
즉, 우량주(입지좋은 곳의 신축아파트)를 사서 실거주하면서 존버하면 되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발생한다.
주식은 한주씩도 살수 있는데 부동산은 하나가 너무 비싸다는 것이다.
특히 우량주라고 볼 수 있는 아파트는, 적어도 우리는 일단 살 수가 없다.
그래서 우리는 어떻게 해야할까
"가난한 삶이란, 말하자면 우리들 생활에 절박한 포즈 외엔 어떤 것도 허락하지 않는 삶이란 뜻이다" (양귀자, 모순에서)
위에서 본 것과 같이 부동산에서의 개미의 위치는 주식시장에서의 위치보다 더 낮은 곳에 있다.
최초 종잣돈이 없으면, 고수익을 포기한 가장 안전한 포지션조차도 취할 수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불행하게도, 이 종잣돈이라는 것은 대부분 태어나면서 결정되니 이보다 더 서러운게 있을까 싶다.
결국, 우리는 두가지 중 하나를 강요받게 된다.
1) 종잣돈이 모일 때까지 전세살이
2) 리스크를 감수하고 잡주(후술한다)에 투자하기
우리는 용감해져야 한다
우연찮게 종잣돈이 있어서 안전한 선택을 할 수 있었거나, 전세살이 하면서 돈을 모을 생각을 했다면 역시 이글을 쓰지 않았을 것이다.
종잣돈이 부족한 개미들이 아직 사다리를 밟고 일어서는 것을 포기하지 않았다면(부동산으로)
우리는 용감해져야 한다.
주식시장에서 우량주 존버로는 시장수익률 정도지만, 잡주에 베팅하면 큰 수익(또는 큰 손실)을 얻을 수 있는 것처럼 우리도 부동산 시장에서의 잡주를 노려야 한다.
그래도 주식시장의 잡주보다는 그나마 나은게 있다.
적어도 휴지조각이 되지는 않으며, 하한가 수준의 급격한 하락도 어지간하면 없다.
그렇다면 부동산 시장에서의 잡주는 정확이 어떤 것일까?
입지가 좋은 신축 대단지 아파트 들이 우량한 상장주식이라고 한다면, 재건축을 앞둔 노후화된 아파트나 재개발지역 등은 비상장주식과 같은 포지션이라고 볼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다가구주택이나 빌라등은 그야말로 잡주라고 볼 수 있다.
우리는 이런 곳에 투자해야만 한다. 용감해져야 한다.
나의 블로그, 부동산 카테고리의 목적
용감한 행동을 하려면 준비를 많이해야 한다.
우리는 실패할 기회도 없을 수 있기 때문이다.
블로그를 하면서 부동산 카테고리를 만든 이유는 용감해지기 위해서이다.
'지식정리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정보 수집하기(주택) (0) | 2019.08.04 |
---|---|
방배동 임장기 (0) | 2019.06.23 |
아파트에 가야겠다고 결심했다. (0) | 2019.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