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으로 뭔가를 해보기로 마음먹었다면, 우선 부동산 정보를 수집해보자
그런데 부동산 정보라 하면, 어떤 것이 있을까?
부동산, 우리는 먼저 주택을 위주로 볼 것이므로 "주택매매"로 한정해서 생각해 보자.("우선은" 주로 아파트가 되겠지만)
주택을 사야겠다고 마음을 먹었다면, 어떤 정보가 필요할까?
물론 여기서 아파트를 가야되나, 빌라를 가야되나 등의 고민은 우선 배제한다.
- 입지
시중에 나온 책들이나 유명 블로거들 및 네X버의 유명 까페들을 두루 다녀본 결과
주택을 매매할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은 "입지가 좋아야 한다"라는 것이다.
입지라는 것은 상당히 많은 것들을 내포하고 있다.
몇가지 나열해보면,
교통이 좋아야 하고, / 학군이 좋아야 하고, / 편의시설이 있어야 하고... / 숲세권이야 하고... / 개발 가능성이 있어야하고..
그리고 조금 다른 맥락이지만 아파트의 경우 최근 트렌드는 "교통요지"에 있는 "대단지"의 "신축아파트"이면서 "학군"이 좋은 곳(초품아 등)이다.
- 교통이나 편의시설 및 숲세권등과 관련된 정보는,
너무도 당연하게 주요 포털사이트의 지도 서비스를 통해서 지하철 역세권인지, 버스정류장이 인접해 있는지 등등을 바로 확인해 보면 된다.
- 그리고 학군,
학군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때에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학군 좋은 곳 세군데(서울 기준, 강남, 목동, 중계)를 큰 그림으로 깔고 본인의 선호를 반영해서 개별적으로 파고들면 된다.
구체적으로 보면,
초등학교의 경우 크게 두가지 이슈가 있는 것으로 본다.
1. 교통의 편의성( 도보가능한지, 도보가능하더라도 대로변을 지나야 하는지, 셔틀버스가 필요한지 등)
2. 혁신초(창의성위주교육, 입시에는 불리해서 강남아줌마들이 싫어함)나 사립초(비싸고, 추첨제다. 호불호가 갈린다) 를 보낼 것인지 여부
중학교의 경우 학업성취도 및 자사고나 특목고 진학률 등을 참고하면 되고 (상대적으로 교통과 관련해서는 덜 따지게된다)
고등학교의 경우 당연히 명문고 진학률 등을 보면 될것이다.
이 모든 정보는 어디서 확인해야할까?
아파트실거래가조회에서 보면 알 수있다. 그냥 지도로 검색하기에서 학군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주변 학교에 대한 정보가 모두 조회된다.. 후술하겠지만, 아파트 실거래가 조회에서는 당연하게도 실거래가도 조회가 가능하다.
- 그리고 위에서 적은 아파트의 연식과 세대수, 등등에 대한 정보도 사실 아파트 실거래가 조회에서 모두 확인가능하고, 그외에 직방이나 호갱노노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 가격
입지에 대한 분석이 끝나면, 언제, 얼마에 사는 것이 적당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수 있다.
그냥 직방 및 네이버 부동산을 참고하자...
참고로, 지도를 통해서 어디가 좋을까 하고 검색하는데에는 직방이 좋고, 실매물을 검색할 때에는 네이버 부동산이 좋다.
직방에는 매물이 빠진 것들이 종종 발견되곤 하는 듯 하다.
- 그외
사실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위에서 언급한 것들은 대부분의 시장참여자들이 주로 중요하게 여기는 것들에 대한 정보이고, 그 외에 실제 거주한 사람들의 후기 따위의 정성적인 정보도 필요할 수 있다.
예를들어 층간소음이라든지, 녹물이라든지, 재건축 이슈라든지....
그래서 대략적으로 후보군이 좁혀지면, 회원수 및 글 리젠이 많은 네X버의 부동산XX디 카페같은 곳에서 검색을 해볼 필요가 있다.
쓰다보니 별로 의미있는 글이 안될것 같다.
그냥 직방이랑 아파트실거래가 어플, 네이버 부동산을 깔아서 번갈아가면서 검색하다 보면 대충 견적나오고,
네X버 까페에가서 검색해보면 모든 정보를 다 얻을 수 있다.
'지식정리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범한 사람은 부동산 투자를 어떻게 해야할까 (0) | 2019.07.21 |
---|---|
방배동 임장기 (0) | 2019.06.23 |
아파트에 가야겠다고 결심했다. (0) | 2019.05.02 |